2025년 4월 2일, 총 23개 지역에서 재보궐선거가 치러집니다.
이번 선거는 단순한 보궐이 아닌, 각 지역의 정책 방향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회입니다. 특히 사전투표는 일정상 본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유용하죠.
오늘은 2025 재보궐선거 일정부터 사전투표 참여 방법, 준비물, 지역별 투표소 찾는 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!
📆 투표 일정 요약
- 사전투표: 2025년 3월 28일(금) ~ 29일(토)
- 본투표: 2025년 4월 2일(수)
- 시간: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(일부 지역은 본투표 8시까지 연장)
- 거소투표 신청: 3월 11일 ~ 15일
📝 사전투표 참여 방법
📍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든 참여 가능!
단, 관내/관외 여부에 따라 절차가 달라지니 체크가 필요해요.
🔐 필요한 준비물
-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또는 모바일 신분증
- 관외 사전투표 시 회송 봉투 사용 필요
✅ 출장·여행 중인 경우에도 관외 사전투표로 참여 가능하니 꼭 챙기세요.
🗺️ 투표소 & 후보자 정보 확인
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투표소 위치 및 후보자 공약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요.
- 지역 선택 후 사전투표소 조회 가능
- 본투표는 지정 투표소에서만 가능하니 주소지 확인 필수!
🏛️ 선거가 열리는 주요 지역은?
- 교육감: 서울, 부산 등
- 기초단체장: 구로구, 아산시, 담양군 등
- 광역·기초의원: 성남, 고흥군 등 다수
특히 서울시 교육감 선거는 교육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주목해야 할 선거 중 하나입니다.
🎯 마무리: 한 표가 만드는 변화
작은 한 표가 우리의 일상과 지역 미래를 바꿀 수 있습니다.
바쁜 일정에도 사전투표소에서 빠르게 참여할 수 있으니, 미리 준비해서 소중한 권리를 행사하세요!
🙋 자주 묻는 질문
Q1. 사전투표는 누구나 가능한가요?
A. 네!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든 참여 가능합니다.
Q2. 본투표는 주소지와 다른 곳에서 할 수 있나요?
A. 불가능합니다. 본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.
Q3. 사전투표할 때 꼭 신분증이 있어야 하나요?
A. 네.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 본인 확인용 신분증이 필수입니다.
Q4. 거소투표란 무엇인가요?
A. 병원 입원, 장애 등으로 이동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우편 투표 방식이며, 사전 신청이 필요합니다.
Q5. 투표소 안내문을 못 받았어요. 어떻게 확인하죠?
A.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☎1390으로 전화해 확인 가능합니다.